본문 바로가기
이슈사건관심사

동반성장지수 발표 동반성장 앞으로는 잘될까

by 마니팜 2013. 5. 28.
반응형

동반성장 : 대중소기업간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 협력을 강화하여 함께 성장하는 것을 말함

 

동반성장지수 발표

 

동반성장위원회가 73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동반성장을 위한 노력 등을 평가한 동반성장지수를 발표하였습니다. 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S·현대미포조선·현대중공업·포스코·SK텔레콤·SK종합화학·SK C&C 등 9곳의 대기업은 '우수'평가를 받은 반면

 

 

출처 : 중앙일보

 

코오롱글로벌·현대홈쇼핑·현대백화점·홈플러스·CJ오쇼핑·KCC·LS산전·STX중공업 등 8개 기업은 동반성장지수가 가장 낮은 등급인 ‘개선’을 받았습니다.

 

점수가 낮은 기업들은 동반성장지수가 낮게 나왔다고 불이익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이미지가 실추될까봐 걱정이 많습니다. 더러는 산업특성이나 협력업체 지원이 어려운 경영현실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불만을 표시하기도 하였지만 동반성장과 상생이 사회의 대세이다보니 드러내고 불평을 털어놓지는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동반성장의 의미와 중요성

 

 

동반성장위원회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2010년에 세워졌습니다. 대기업과 재벌들의 경제력 독점으로 인한 폐해와 중소기업 육성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상생과 공존이 경제적 화두로 대두되는 사회 분위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이번에 평가결과를 발표하면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평가대상기업을 확대하고 1차 협력사도 포함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앞으로 기업들은 자사의 매출과 이익창출외에 협력사나 가맹점 등 유관중소기업과의 관계도 신경을 많이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남양유업사태갑질이라는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업들의 독점욕과 자사 이기주의는 도를 지나친 감이 없지 않습니다. 협력사에게 횡포를 부리는 업체들은 아마 고객도 기업을 성장시켜주는 고마운 존재로 보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한푼이라도 더 주머니를 털어낼까에만 골몰하는 공략의 대상으로 생각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하청업체나 가맹점, 협력사 들은 죽건말건 내 욕심만 채우면 된다는 생각은 장기적으로 보면 제 살깎아먹기에 지나지 않습니다. 고객에 대해서도 기업이 장기적으로 함께 가야하는 동반자이자 기업을 존속하게 제품을 구입해주는 고마운 소비자라는 생각보다 당장 이익을 빼먹을 대상으로만 생각한다면 그 고객은 결국 기업을 외면하게 될 것입니다.

 

강요된 동반성장보다는 동반성장의 가치와 의미를 스스로 찾아야 

 

동반성장 카툰 발췌(출처: 동반성장위원회) 동반성장 카툰보러가기 [링크]

 

인간사회가 약육강식의 야생동물사회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약자를 함께 보듬고 간다는 점에 있습니다. 사회적 경제적 약자와 함께 할 때에 갈등과 대립, 질시와 반목을 줄이고 사회전체적으로 행복과 부를 더 많이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에서는 동반성장지수의 발표에 대해 인위적이고 강제적인 평가로 기업 줄세우기의 폐단이 있고 평가기준도 애매하다는 비판이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에 대해 기업들 스스로의 반성도 필요할 것입니다. 

 

거의 모든 기업들이 우수로 평가되어 동반성장지수의 평가 자체가 무의미해진다면 동반성장위원회가 굳이 활동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국민들은 상생하는 기업을 사랑하고 존경한다

 

잘못된 갑을문화를 상생의 동반성장문화로 바꿔 나가는 것은 1차적으로 기업들의 책임이자 의무입니다.

기업들 특히 독과점기업이나 많은 협력업체를 거느린 대기업들이 상생과 공영의 가치를 좀 더 경영에 반영하여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만드는데 앞장선다면 국민들도 이러한 기업과 기업인들을 사랑하고 존경하게 될 것이며 기업도 더욱 발전하게 되리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업간 동반성장문화 확산을 계기로 직장내에서나 우리 사회 곳곳에서 있는 자와 없는 자, 가진자와 못가진자간 양극화와 갈등을 극복하고 나눔실천과 상생의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관련기사 링크>

대기업 73곳 중 8곳 동반성장지수 최저 등급(중앙일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