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로윈데이-싸이처럼 옷 입는 법

반응형

서양풍속인 할로윈데이(Halloween day)의 풍습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요즘은 10월 31일 할로윈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처음에 일부 젊은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소규모로 시작된 파티풍습이 이제는 점차 퍼져서 젊은이들에게 보편화되는 듯 합니다

 

특히 젊은 층이 많이 오가는 홍대나 이태원카페나 클럽, 대학가 등을 중심으로 젊은이들이 각종 가면을 쓰고 할로윈 파티를 즐기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는데요. 할로윈 상품을 파는 업체와 클럽 들의 장삿속이 개입되어 있기도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문화교류가 활발해 지고 있는 마당에 너무 상업화되거나 무분별한 방종이나 낭비로 치닫지 않는한 굳이 서양풍습을 우리가 왜 따라 하느냐하고 시비걸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일종의 재미라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고 나중에는 서양사람들이 우리의 추석을 흉내내서 강강술래를 하거나 그네를 뛸 지도 모를 일 아니겠습니까

 

다만, 서양 그것도 일부에서 챙기는 할로윈데이를 뜻도 잘 모르면서 그냥 즐기기 보다는 그전에 백중, 추석이나 동지 등 우리 전통의 명절과 풍습을 즐기고 보존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임은 물론입니다. 

 

요즘 화제의 인물인 싸이가 이번 할로윈데이에도 뉴스의 촛점에 올랐습니다. 싸이의 복장이 좀 남다르다보니 미국 빌보드지가 금년 할로윈의 추천의상으로 싸이처럼 옷입기를 권했다는 뉴스입니다.

 

할로윈데이란? 

할로윈데이는 원래 아일랜드 켈트족의 축제풍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켈트족은 사람이 죽으면 그 혼령이 1년간은 다른 사람의 몸속에 머물다가 저승으로 간다고 믿었는데 혼령이 머물 사람의 몸을 선택하는 날이 새해(켈트족의 1년은 겨울이 시작되는 11월 1일에 시작합니다) 하루 전 즉 그해의 마지막 날인 10월 31일이기 때문에 이 날에 귀신복장을 하여 혼령이 자신에게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고 합니다.

 

기독교가 전해지면서부터는 교황이 11월 1일을 모든 성인의 날(만성절 : All Hallow Day)로 정하자 그 전날이 성인의 날 전야(Hallow's Eve)가 되었고 이 날이 Halloween Day의 유래가 된 것입니다. 

 

 

할로윈 호박등

 

영국 등 북유럽과 미국 등에서 크리스마스, 추수감사절과 함께 주요 축제일로 즐겨지는 할로윈데이에 아이들은 밤에 마녀나 해적, 괴물, 만화주인공 등으로 분장을 하고 집집마다 방문하며 사탕과 초콜릿을 얻어가는 풍습이 있습니다.

 

빌보드지는 케이티 페리, 리한나 등 세계적인 팝의 디바들과 함께 싸이를 할로윈에 가장 적합한 꼭 입어야 할 의상스타일로 꼽았습니다.

 

 

 

 

 

11월 3일자 빌보드지에 표지모델로도 등장하게 될 싸이. 이제 월드스타라고 불러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듯 합니다.

 

 

<관련기사 링크>

 

美 빌보드, 할로윈데이 '싸이 의상' 착용법 소개

조권, 할로윈 복장 통해 공포감 조성… ‘역시 조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