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통문화인 택견과 줄타기, 한산모시가 28일 인도네시아의 발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인류문화유산으로 등재가 결정되었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총 14건의 인류문화유산을 보유한 전통문화 강국임을 자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류문화유산은 2003년 국제 무형유산보존협약에 의거 유네스코가 인류의 문화적 창의성과 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국의 신청을 받아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하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11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만 이번에 택견과 줄타기, 한산모시짜기 3건이 추가되어 총 14건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이하 설명은 문화재청 인류무형유산 소개의 발췌이며 더 자세한 사항과 자료를 보시려면 문화재청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1. 종묘제례 및 제례악
종묘제례란 종묘에서 행하는 제향의식으로, 조선시대의 나라제사중 규모가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 때문에 종묘대제(宗廟大祭)라고도 한다. 종묘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나라에 공적이 있는 공신들의 신주를 모셔 놓은 사당으로, 사직과 더불어 국가의 근본을 상징하는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이다. 종묘 정전의 19개 신실에는 태조를 비롯한 왕과 왕비의 신주(49위)가 모셔져 있으며, 영녕전 16실에는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34위)를 봉안하고있다.
2. 판소리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페라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이다.
3. 강릉 단오제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높은 날’ 또는 ‘신 날’이란 뜻의 수릿날이라고 부르는 날이다. 강릉단오제는 양기의 숫자 5가 두 번 겹치는 음력 5월 5일 수릿날의 전통을 계승한 축제이다. 본래 단오는 보리를 수확하고 모심기가 끝난 뒤에 한바탕 놀면서 쉬는 명절로서 농경사회 풍농 기원제의 성격을 지닌다.
4. 강강술래
전통적으로 강강술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세기절기인 설, 대보름, 단오, 백중, 추석, 9월 중구 밤에 연행되었으며 특히 팔월 추석날 밤에 대대적인 강강술래 판이 벌여졌다.
강강술래는 노래(song), 무용(dance), 음악(music)이 삼위일체의 형태로 이루어진 원시종합예술로서 한국 특유의 ballad dance이다. 춤을 추는 여성들 중에서 노래 잘하는 한 사람이 설소리를 하면 모든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는 선후창의 형태로 노래되며, 노랫소리에 맞춰 많은 여성들이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5.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는 꼭두쇠(우두머리)를 비롯해 최소 40명에 이르는 남자들로 구성된 유랑연예인인 남사당패가 농·어촌을 돌며, 주로 서민층을 대상으로 조선 후기부터 유행했던 놀이이다.
6. 영산재
영산재는 49재(사람이 죽은지 49일째 되는 날에 지내는 제사)의 한 형태로, 영혼이 불교를 믿고 의지함으로써 극락왕생하게 하는 의식이다. 석가가 영취산에서 행한 설법회상인 영산회상을 오늘날에 재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불교 천도의례 중 대표적인 제사로 일명 ‘영산작법’이라고도 한다
7.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제주 칠머리당영등굿은 제주시 건입동의 본향당(本鄕堂)인 칠머리당에서 하는 굿이다. 건입동은 제주도의 작은 어촌으로 주민들은 물고기와 조개를 잡거나 해녀작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마을 수호신인 도원수감찰지방관(都元帥監察地方官)과 요왕해신부인(龍王海神夫人) 두 부부에게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비는 굿을 했다
8. 처용무
처용무란 처용 가면을 쓰고 추는 춤을 말한다. 궁중무용 중에서 유일하게 사람 형상의 가면을 쓰고 추는 춤으로, ‘오방처용무’라고도 한다.
통일신라 헌강왕(재위 875∼886) 때 살던 처용이 아내를 범하려던 역신(疫神 : 전염병을 옮기는 신) 앞에서 자신이 지은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춰서 귀신을 물리쳤다는 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9. 가곡
가곡은 시조시(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에 곡을 붙여서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우리나라 전통음악으로, ‘삭대엽(數大葉)’ 또는 ‘노래’라고도 한다. 가곡의 원형은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 순이나 느린 곡인 만대엽은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이전에 없어졌고, 중간 빠르기의 중대엽도 조선말에는 부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지금의 가곡은 조선 후기부터 나타난 빠른 곡인 삭대엽에서 파생한 것으로, 가락적으로 관계가 있는 여러 곡들이 5장형식의 노래모음을 이룬 것이다.
10. 대목장
대한민국에서는 나무를 다루는 사람을 전통적으로 목장, 목공, 목수라 불렀다. 기록상으로 보면 목장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다. 이 목장 가운데 궁궐이나 사찰 또는 가옥을 짓고 건축과 관계된 일을 대목(大木)이라 불렀고, 그 일을 하는 장인을 대목장(大木匠)이라 불렀다. 설계, 시공, 감리 등 나무를 재료로 하여 집을 짓는 전 과정의 책임을 지는 장인으로서, 오늘날 건축가를 일컫는 전통적 명칭이 대목장이다.
11. 매사냥
매사냥은 매를 훈련하여 야생 상태에 있는 먹이를 잡는 방식으로 4000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아시아에서 발원하여 무역과 문화교류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에 매사냥은 식량 확보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자연과의 융화를 추구하는 야외활동을 자리매김 했으며 60개 이상 국가에서 전승되고 있다.
<사진출처 : 전통매사냥 보존회>
특히 택견은 각국의 전통무예중 최초로 등재되는 데다가 이번에 중국이 쿵후를 등재신청하였으나 보류판정받음으로써 더 자랑스럽고 뜻깊게 보입니다.
돌아오는 12월 3일에는 전통매사냥보존회에서 인류무형유산등재를 기념하여 매사냥시연회를 갖는다고 하니 관심있으신 분들 많이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 링크>
택견·줄타기·한산모시, 인류무형유산 등재(종합)
'이슈사건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배달민족-배달천국 대한민국 (2) | 2011.12.07 |
---|---|
이색 교통표지판-뉴욕시의 하이쿠형식 교통안전 표지판 (0) | 2011.12.01 |
한인여성 칠면조빨리먹기대회 우승(동영상) (0) | 2011.11.26 |
한류와 반한류(취재동영상 전재) (2) | 2011.11.25 |
제29회 대한민국패션대전-패션한류를 꿈꾸며 (0) | 2011.11.25 |